2008년 4월 25일 금요일

Open Office를 사용하다

 

image

예전에 Free Office 프로그램으로 처음 나온 Start Office를 사용해 본 적이 있었다. Microsoft Office가 거의 독점하고 있던 시장상황도 그렇지만 공개 소프트웨어가 따라가기 정말 힘든 MS Office의 방대한 기능에 크게 기대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설치했고 결과는 역시나 단 하루도 내 하드디스크를 차지하지 못하고 삭제되고 말았다.

그로부터 꽤 오랜 시간이 지난 것 같다. 구글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구글 오피스를 접하게 되었다. 기능상으로는 제법 기본적인 기능들을 잘 구현하고 있었고 화려한 기능을 제외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보는데는 무리가 없었다. 오히려 MS Office를 만든 Microsoft가 직접 만든 Windows Mobile용 Office보다는 안정성이나 기능면에서 나아 보였다. 하지만 역시나 웹 응용의 제약이랄까 조금만 큰 문서를 열어도 브라우저가 버벅거리면서 스크립트를 중지하겠냐는 메시지가 뜬다. 어땠건 Free Office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가지게 되었고 Open Office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게 되었다.

첫 느낌은 역시 화려한 MS Office에 비하면 약간은 초라한 조금은 투박해 보이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예전의 Star Office에 비해서는 장족의 발전이라 할까. 공개소프트웨어로는 보이지 않는다. 아래아 한글이나 훈민정음같은 토종 Office 프로그램에 비해서는 오히려 세련되어 보인다. 상세한 기능이나 성능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UI의 선호도 측면에서는 국산 Office 프로그램에 비해서는 낫게 느껴졌다.

대충의 UI를 살펴 본 후에는 실제 업무에서 사용하던 Word, Excel, Power Point 문서를 열어보았다. 아무런 문제없이 열 수 있고 실제 업무에서 MS 제품을 대체해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어 보인다. 이는 내가 근무하는 사무실에서는 MS Office의 Visual Basic for Application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완벽한 변환 플러그인과기본적인 Drawing, 수식 객체들과 OLE 지원만 있으면 문서를 열고 출력하는데 문제가 없는 기본적인 문서만을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MS Office가 오랜 시간동안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배경에는 VB for App를 이용한 강력한 프로그래밍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공개 소프트웨어로서 MS Office를 압도하기란 무리일지 모르지만 적어도 어느정도 대체할 수 있기 위해서는 VB에 상응하는 프로그래밍 기능이 보강되야 할 것 같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기능이 필요한 고급 사용자가 아닌 이상 안정성이나 기본 기능에 있어서는 MS Office에 뒤질 것 없이 MS Office를 대체할 수 있을 듯 보인다.

MS가 개인용 OS 분야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는 것은 MS Office 특히 Excel의 힘이 가장 큰 것으로 안다. Open Office가 상당 부분 MS Office를 대체하면서 시장에서의 Linux나 Mac의 점유율이 높아져 Windows가 아닌 다른 OS를 사용하면서도 불편함 없는 그런 세상을 기대해 본다.

정치에 대한 생각의 변화

어렸을 때부터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정치에 대해서 이런 생각들을 가졌었다. 정치하는 놈들 다 쓰레기 같은 인간이라고. 그런 쓰레기 같은 인간들 대통령 시켜주려고, 국회의원 시켜줘서 내 피같은 세금 빼먹도록 하는데 일조하기 위해 왜 투표를 해야 하는지 아예 정치에 관심 끄고 살고 싶다고 생각했던적이 있었다.

어쩌면 우리나라 대다수의 국민들이 정치에 대해 이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명박이 대통령이되고 한나라당이 여당이 되면서 이런 안일한 생각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나라를 망치고 아무 상관 없다고 느꼈던 정치가 개개인에게도 얼마나 피해가 될 수 있는지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정치는 사람에 대한 호, 불호의 문제가 아니다. 나라가 흥하냐 망하느냐의 문제이다. 나라를 흥하게 하기는 정말 어렵다. 어떤 한사람을 대통령 시켜준다고 쉽게 되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나라를 망치는 것은 순식간이다. 나라를 망치지 않기 위해서 절대 대통령이 되서는 안되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아주 작지만 한 표의 행사와 정치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꼭 필요하다. 난 이명박과 한나라당을 보면서 한일합방과 이완용과 같은 매국노들이 생각난다. 그들도 스스로 생각하기에는 자신을 실용주의자라 여겼을 것이다.

[스크랩] '식코'는 미국 영화일 뿐일까.

 

정말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이후로 신문만 보면 화가 치솟는다.
이번엔 우매한 국민들이 스스로 선출한 대통령, 국회의원들에 의해
제대로 당하게 될 것 같다.
이 정권을 만들어 준 국민들 중 그들이 내놓는 정책에 으해
실제 혜택을 받는 이들은  불과 단 1~2% 뿐일 것이다.

이명박을 뽑고 한나라당을 찍은 국민들이여
한번 스스로에게 물어봐라..
당신들은 이 나라 1~2%에 속하는 부자들인가?

scrapped from : 이정환닷컴

By 이정환 on April 24, 2008 5:45 PM | Permalink | Comments (7) | TrackBacks (1)

영 화 '식코'의 개봉으로 민영 의료보험과 의료 산업화에 대한 문제제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식코'는 미국 영화일 뿐이고 미국과 우리나라의 현실은 다르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세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24일 한국경제 칼럼에서 건강보험의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민영 의료보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영화 '식코'를 둘러싸고 가장 유감스러운 것은 미국 사례를 우리 현실인양 호도하면서 세력 결집의 동인으로 악용하려는 시도"라며 "국가 전체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건강보장권의 설계는 감정적 호소와 시각적 조작에 속지 말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의 주장은 미국은 민영 의료보험이 의료보장의 근간이고 공적 보험이 보조 역할을 하지만 우리나라는 공적 보험이 30년 동안 훌륭하게 운영되고 있고 다만 재정 적자를 완화하기 위해 민영 의료보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의료보장 확대는 원하되 보험료 인상에는 반대하는 국민 여론 앞에 뾰족한 대안도 없다"고 단정 짓는다.


김 교수는 또 "민간보험은 절대 악이고 사회보험은 절대 선이라는 무어의 주장에도 동의하지 않는다"며 "유럽 사람들이 의료 서비스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받는 대가로 미국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질적으로 낙후된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공적 보험과 사적 보험 사이의 적절한 역할 분담, 의료 부문에의 경쟁 도입, 의료기관 당연지정제 완화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해 의료산업 선진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미국과 우리나라는 다르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와 민영 의료보험 활성화가 건강보험의 축소를 불러오고 의료 양극화를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에는 아무런 설명도 하지 않았다.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강조했지만 미국에서 민영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못해 그 질 높은 의료 서비스에 아예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20%나 된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건강보험의 재정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민영 의료보험을 활성화하자는 주장은 그야말로 궤변이다. 이 말은 건강보험의 보장 범위와 혜택을 축소하자는 이야기다. 건강보험의 대안으로 민영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사람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열악한 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게다가 민영 의료보험 활성화는 중장기적으로 건강보험 의무가입 폐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김 교수는 미국과 우리나라는 다르다고 이야기하지만 건강보험 축소와 민영 의료보험 확대가 바로 미국식 의료로 가는 길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낙후된 서비스보다는 당연히 질 높은 서비스가 좋다. 문제는 그만큼 더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한다는 것인데 미국처럼 1인당 월 100만 원씩 보험료를 내면 당연히 훌륭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핵심은 민영 의료보험을 부담할 수 있는 사람이 한정돼 있고 나머지 대다수는 질 높은 서비스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국민들이 건강보험의 보험료 인상에 반대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너무나도 분명한 것은 민영 의료보험을 활성화하면 건강보험 보험료를 인상하는 것보다 훨씬 가계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사실이다. 민영 의료보험을 활성화는 과연 누구를 위한 지속 가능한 건강 보장권의 설계일까. 김 교수는 영화 '식코'가 감정적 호소와 시각적 조작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김 교수의 주장은 논리적 왜곡과 기만으로 점철돼 있다.
김 교수는 민영 의료보험 활성화가 국가 전체와 미래 세대를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공공부문의 혜택이 거추장스러운 소수 기득권 계층의 이해를 대변하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